본문 바로가기
건강 운동 정보

야구 기록 영어 약어 (줄임말) 완벽 정리! 타자와 투수 기록지 보는 방법

by 재시칸3 2025. 3. 26.
반응형

 

야구를 보다 보면 "AB", "RBI", "BB" 같은 영어 약어들이 자주 등장하죠.
하지만 입문자라면 그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야구 기록 영어 약어 중에서도 타자와 투수의 기본 기록을 하나씩 자세히 풀어서 설명해드릴게요.
글 끝부분엔 각 내용을 표로 요약해드리니 복습하기도 편할 거예요!

야구타격


⚾ 타자 기록, 하나씩 정확히 이해하기

✅ AB (At Bat) – 타수

AB는 타자가 실제로 타격을 시도한 횟수를 의미합니다.
단, 모든 출루가 타수에 포함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볼넷(BB), 몸에 맞는 공(HBP), 희생번트(Sacrifice Bunt), 희생플라이(Sacrifice Fly)는 타수에서 제외됩니다.
타자가 타격을 시도했지만, 볼넷, 사구, 희생플라이 등 특정 상황에서는 타수로 기록되지 않습니다.

✅ R (Run) – 득점

R은 타자가 홈을 밟아 직접 팀에 점수를 올린 횟수를 의미합니다.
안타, 홈런, 혹은 동료 타자의 희생플라이 등으로 홈까지 들어오면 1득점(R)으로 기록됩니다.
득점은 타자의 주루 능력과 경기 상황에 따른 판단력을 나타내는 기록입니다.

✅ H (Hit) – 안타

타자가 공을 치고 1루 이상 진루한 경우를 안타(H)라고 합니다.
1루타부터 2루타, 3루타, 홈런까지 모두 안타로 포함되며, 공을 정확히 맞추는 타격 기술이 반영된 기록이에요.

✅ BB (Base on Balls) – 볼넷

스트라이크 존을 벗어난 공을 투수가 연속으로 4개 던지면, 타자는 자동으로 1루로 나갑니다.
이 경우 타수에는 포함되지 않고, 출루율(OBP) 계산에는 포함돼요.
볼넷이 많다는 것은 선구안이 좋다는 뜻이기도 하죠.

✅ RBI (Runs Batted In) – 타점

타격으로 인해 주자가 홈으로 들어오면 타점(RBI)이 주어집니다.
예를 들어, 2루에 주자가 있을 때 안타를 치면 그 주자가 홈을 밟고 타자는 1타점을 얻게 되죠.
단, 병살타나 수비 실책으로 인해 점수가 났다면 타점으로 기록되지 않습니다.

✅ HR (Home Run) – 홈런

홈런은 타자가 친 공이 외야 담장을 넘거나, 수비 실책 없이 전 루를 밟았을 때 기록됩니다.
홈런은 외야 펜스를 넘기는 것이 일반적이며, 드물게 그라운드 홈런으로 기록될 수도 있습니다.
홈런은 모든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이는 공격력의 상징이라 볼 수 있죠.


🗂️ 타자 기록 요약 표

약어 의미 설명
AB 타수 볼넷, 사구, 희생번트, 희생플라이 제외한 타격 완료 횟수
R 득점 타자가 직접 홈을 밟아 점수를 낸 횟수
H 안타 출루 성공한 모든 안타 (1~3루타, 홈런 포함)
BB 볼넷 스트라이크 존을 벗어난 공 4개로 1루 진출
RBI 타점 타격으로 주자가 홈을 밟은 경우 (실책 제외)
HR 홈런 펜스 넘기거나 전 루를 밟은 경우의 득점 타격

 


🧤 투수 기록, 기본부터 디테일까지

✅ IP (Innings Pitched) – 투구 이닝 수

IP는 투수가 던진 이닝을 의미합니다.
야구에서 1이닝은 아웃카운트 3개로 구성되는데,
투수가 완전한 1이닝을 소화하지 못하고 중간에 교체될 경우 0.1이닝(1아웃), 0.2이닝(2아웃)으로도 기록됩니다.
따라서 IP는 투수의 소화력과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예요.

✅ H (Hits Allowed) – 피안타

투수가 상대 타자에게 허용한 안타의 개수입니다.
피안타 수가 많다는 것은 타자에게 잘 맞았다는 뜻으로, 위기 상황을 의미할 수도 있어요.

✅ ER (Earned Runs) – 자책점

자책점은 수비 실책을 제외한, 투수의 순수한 책임으로 실점한 점수입니다.
예를 들어 수비가 공을 놓쳐서 주자가 홈을 밟은 경우, 이 점수는 자책점으로 계산되지 않아요.
자책점이 낮을수록 투수의 순수 실력이 좋다는 의미입니다.

✅ BB (Base on Balls) – 볼넷

타자 기록과 동일하게, 스트라이크 존을 벗어난 공 4개로 인해 주자를 출루시킨 경우입니다.
볼넷은 제구력과 컨트롤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 중 하나예요.

✅ SO (Strikeouts) – 삼진

SO는 투수가 타자를 삼진(스트라이크 아웃)으로 잡은 횟수입니다.
삼진은 투수의 구위와 제구력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입니다.


🗂️ 투수 기록 요약 표

약어 의미 설명
IP 투구 이닝 수 0.1 = 1아웃, 0.2 = 2아웃으로도 기록 가능
H 피안타 투수가 허용한 안타 수
ER 자책점 수비 실책을 제외한 투수 책임 점수
BB 볼넷 제구력 부족으로 주자 출루 허용
SO 삼진 타자를 스트라이크 아웃시킨 횟수

🎯 야구 기록 영어 약어,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경기

이제 "AB"가 뭔지, "RBI"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IP"는 어떻게 나오는지 명확하게 이해되셨나요?
야구 기록 영어 약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선수의 전략, 기량, 경기 흐름을 읽는 핵심 데이터입니다.

이제 야구 기록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과 경기 흐름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도 여러분이 응원하는 팀이 승리하기를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이 흥미로우셨나요?

다음과 같은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2025.03.24 - [건강 운동 정보] - 야구 타격 지표 완벽 정리! OPS, wRC+, WAR 뜻까지 한 번에 이해하기

2025.03.25 - [건강 운동 정보] - 야구 투수 지표 완벽 정리! ERA, WHIP, FIP, WAR 쉽게 이해하기

 

 

 

반응형

댓글